경기민감주는 필수 소비재를 포함한 경기 방어주와 비교했을 때 경제의 변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데요,
최근 에너지 등 경기 민감주들의 주가가 올라가면서 시장이 경제 회복에 베팅하고 있다는 분석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 섹터와 필수 소비재 섹터의 수익률은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에너지 셀렉트 섹터 SPDR 펀드(XLE) 연간 그래프
컨슈머 스테이플스 셀렉트 섹터 펀드(XLP) 연간 그래프
이러한 현상은 ETF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올해 들어 S&P500 지수가 3.5% 오른 기간 동안 오일 및 가스 에너지 종목들로
구성되어 있는 에너지 셀렉트 섹터 SPDR 펀드(XLE)는 12%의 수익률을 기록한 반면 개인용품 및 식음료 기업 등 필수 소비재로
구성된 컨슈머 스테이플스 셀렉트 섹터 펀드(XLP)는 2%의 손실을 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XLP의 경우 지난해에는 월마트(WMT), 크로거(KR), 코스트코(COST) 등의 종목이 자가격리로 수혜를 보며 7%의
수익률을 기록했는데요, 백신이 배포되면서 올해에는 소비자들이 코로나19 이전의 소비 행태로 회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반면 경기민감주의 상승은 지난해 4분기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되면서 본격화되었는데요,
에너지 섹터의 경우 작년 4분기 실적이 좋지 않았지만 기저효과로 올해 실적이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앨리 인베스트의 수석투자전략가 린지 벨은 “에너지와 필수 소비재를 바라보는 투자자들의 이분법적인 시선에 비춰봤을 때
투자자들이 희망적인 미래를 기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설명하였는데요, 이에 더해 그는 투자자들이 올해 하반기 성장
전망에 대해 특히 낙관적이라고 설명했다고 합니다. 트루이스트 수석시장전략가인 키스 러너는 투자 심리가 경기 민감주로
이동하면서 필수 소비재등의 경기 방어주는 전체 시장보다 계속 뒤쳐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미국 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가격은 지난 7일 배럴당 57.39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는데요, 엑손모빌(XOM), 셰브론(CVX) 주가는 52주 최고점 대비 아직 20%를 밑돌고 있으며, 코노코필립스(COP), EOG리소시스(EOG) 등은 연고점 대비 27%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황입니다.
DWS그룹 상품 책임자 다웨이 쿵은 에너지 섹터는 지금의 사이클에서 좋은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는데요, 그는 역사적으로 봤을 때 성장과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지속되는 상황에서는 상품 관련 섹터, 특히 에너지 섹터가 좋은 성과를 냈다고 설명했습니다. 프랭클린 내츄럴 리소시스 펀드의 포트폴리오 매니저 프레드 프롬은 신흥국 수요가 회복되면서 석유 수요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다면 에너지 섹터의 주가가 더 높은 수준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는데요, 그는 기업간 합병/비용 절감/서비스 부문 인력 감축 등의 산업 구조가 개선되고 있고, 특히 현금 창출과 주주환원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도 에너지 섹터에 좋은 징조라고 평가했다고 합니다. 또한 그는 재생 에너지 확산에 대해서는 에너지 전환이 본격적으로 실행될 때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측하였다고 합니다.
에너지 기업에 투자 시 선별적인 분야 선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데요, 하이타워 인베스트의 스테파니 링크 수석 투자 전략가는 에너지 기업들 중 쉐브론(CVX)와 슐럼버거(SLB)를 선호한다고 합니다. 그는 쉐브론은 산유량이 풍부한 페름기 유역에서 기반이 탄탄하며 업계에서 가장 강력한 대차대조표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라고 설명하였으며, 슐럼버거는 아직 개척되지 않았지만 향후 몇 년간 13-30%까지 성장할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는 테크놀로지 기업이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