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분기엔 반도체가 앞서나갔다면,
다음은 플랫폼이 앞서나갈 때!!
지난 1일(현지시간) 대형 기술주와
경기민감주 성격의 반도체주가 동시에
시장을 상회했습니다.
S&P500이 1.6% 오르는 동안 NYSE FANG+
지수는 3.2%,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3.9% 뛰었는데요.
투자자 입장에선 양쪽 모두 매력적인
수요 성장 스토리가 있는 분야 입니다.
UBS는 <반도체 분야>가 아웃퍼폼하는 시기가
끝나가고 있다고 판단하는데요.
테크분야 투자 포트폴리오를 조정해 글로벌
플랫폼 기업에 대한 투자를
다시 늘릴 때라는 것입니다!
<밸류에이션은 중요하다>
UBS는 올해 반도체 기업들의 이익 성장률이
30%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이는 이미 어느정도 주가에 반영되고 있는데요.
반도체 기업들의 밸류에이션은 올해 이익
기준으로 26배 정도 입니다.
글로벌 테크기업 기준 약 10% 할인된 가격으로,
역사적인 평균을 넘어선 상태인데요.
반면~ 플랫폼 기업들은 올해 20% 이익
성장률이 기대됩니다.
이들이 받고 있는 밸류에이션에 비해
더 긍정적인 건데요!
<사이클에 올라타라>
플랫폼 기업들은 지난해 9월 조정 이후
횡보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시클리컬(경기 민감) 산업들이
랠리에 올라탄 것과 대조적인 모습인데요.
역사적으로 대규모 투자 사이클이 왔을 때
랠리의 과정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반도체와 하드웨어가 사이클을 이끌고,
플랫폼 및 인터넷 기업들이 그 뒤를 따라가는
순환매 국면이 오는 건데요.
UBS서는 투자자들이 이러한 순환매를
준비해야할 때라고 조언합니다.
<어떤 테크 기업을 고를까?>
플랫폼은 단순히 FAANG(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넷플릭스 구글)을 의미하는 게 아닙니다.
미들캡 테크 기업부터 인터넷 게임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기업을 모두 포함하는건데요.
시장에선 코로나19 팬데믹과 경기 회복이
뒤섞여 있는 상황에서, 방어적인 성격을 가진
플랫폼 기업이 더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지난해 12월 말부터 이어진 중국 플랫폼
기업들의 강력한 랠리가 이를 뒷받침하는데요.
UBS는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 급등을 비중
조절의 기회로 삼으라고 조언합니다.
테크 기업 중 플랫폼 기업 비중을
다시 늘릴 때라는 의미 입니다.
단, “메모리 반도체”에 대해서는 여전히
선호를 유지한다고 하는데요.
특히 <한국의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이 대표적이라고 합니다.
반도체 비중을 줄인다고 해도 여전히
경기 회복기의 수혜를 누릴 수 있을것입니다.
플랫폼 기업은 5G(5세대 이동통신) 시대의
가장 큰 혜택을 보고,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낼 주역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