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스톱’ 주식으로 뉴욕 증시를 뒤흔든 미국의
개미 투자자들이 이제는 은 시장에 몰려들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서 은에서도 기관투자자의
‘쇼트 스퀴즈’를 유발해 가격을 폭등시키겠다는
논의를 하고 있는것으로 포착된 것인데요!
블룸버그는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의 주식토론방 ‘월스트리트베츠’에 은에
투자하자는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고 전하며,
“은 시장이 움직이는 첫 조짐이 나타났다”고 보도했습니다.
개미들은 최근 월스트리트베츠를 중심으로
뭉쳐 게임스톱 주식을 지난 8일부터 27일까지
19배 끌어올렸는데요.
공매도량이 유통주식보다 많은 이 주식의
주가를 폭등시켜 공매도를 했던 헤지펀드들의
‘쇼트 스퀴즈’를 유도했습니다.
공매도한 주식의 주가가 급등함에 따라 주식을
되사서 갚아야하는 상황에 처하는걸 말하는데요.
토론방에 올라온 글들을 보면 개미들은
“은행들이 가격 조작을 통해 은화 가격을
인위적으로 낮게 유지시켜 공급 부족 상황을
감추고 있다”고 말하며,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은 가격은 25달러가
아니라 1000달러가 돼야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다른 글은 “만약 300만 명의 개미 투자자가
은을 300온스(약 8400달러)씩 사들이면
9억온스를 살 수 있고, 이는 한 해 채굴량과
같은 수준”이라면서 “이를 통해 (은 가격을 올려)
은 공매도 세력을 부수자“고 주장했는데요.
또 다른 참여자는 “은 관련 쇼트 스퀴즈가 발생
한다면 역사적 수준이 될 것”이라고 밝히면서,
특히, 은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인
아이셰어 실버 트러스트(iShares Silver Trust, SLV)
를 언급했습니다.
SLV의 가격은 이날 5.55%오른 24.72달러로
마감됐습니다.
장중 7.2%나 상승하기도 했는데요.
은 3월 선물가격도 2.1%올라 온스당 25.922달러로
마감됐으며, 장중 27.1달러까지 올랐는데요.
이는 지난 1월7일 이후 최고가입니다.
은 현물 가격도 한때 6.8% 상승해 8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보였는데요.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은 가격 상승은,
게임스톱이나 AMC엔터테인먼트로 대표되는
인기 높은 주식에서 깨우친 데이트레이더들이
다른 자산으로도 이동하는 걸 보여준다”
고 보도를 했습니다.
선물회사인 블루라인퓨처스LLC의 시장 전략가
필 스트리블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은 시장에서도 쇼트 스퀴즈가 진행되고 있다”며,
“개미들이 로빈후드를 통한 게임스톱 주식
거래들이 제한되니까 은으로 몰려와
파티를 시작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은 가격이 본격적으로 오를 지에 대해
일각에선 의문도 제기되는데요.
시카고의 귀금속 거래회사인 불리온볼트의
연구책임자 애드리안 애시 는 마켓워치와의
인터뷰에서 “특정 파생 상품으로의 갑작스런
자금 쏠림은 가격을 폭등시킬 수 있지만, 이날
은 가격 움직임을 보면 레딧 개미들의 관심을
오랫동안 끌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그는 “주식은 유통물량보다 더 많은 주식을
공매도할 수 있지만, 은 같은 귀금속 시장은
하루 선물 거래량의 3배 가량의 실물이
쌓여있는 곳”이라고 지적하며,
“만약 은값이 폭등한다면 보석이나 식기류로
쓰이고 있는 수많은 은이 금새 실버바로
바뀌어 공급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