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이자 최후의 안전자산. 투자 자산으로서 금(金)의 가치를 논할 때 빠짐없이 따라붙는 표현이다. 금융시장이 불안하고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금테크’에 관심이 커지는 것은 이 때문이다.
최근 금값 급등도 이런 맥락과 무관하지 않다. 지난달에도 미국 영국 등 선진국의 소비자물가가 30~40년 만에 최대폭으로 치솟으면서 글로벌 시장은 인플레이션 공포를 떨치지 못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을 둘러싼 지정학적 우려도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해 금값을 끌어올리는 요인이다. 지난 반년간 코스피지수가 18% 내리는 동안 국내 금 가격은 조용히 8% 올랐다. 지난주 뉴욕상업거래소에선 금 선물 가격이 1.9% 오르며 약 두 달 만에 가장 큰 상승률을 찍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15일 투자자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이처럼 금 가격이 강력한 모습을 보이는 경우는 드물다”며 금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할 것을 권고했다.
그렇다면 지금이 금 투자의 적기일까. 전문가들 사이에선 금테크에 대한 관심은 유지하되 ‘당장 서두를 필요는 없다’는 게 중론이다. 전문가들은 “금 투자는 적극적인 투자 차익을 얻기 위한 수단보다 장기적인 분산 투자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