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1년 이상 지속되면서 집의 역할은
사무실, 식당, 헬스장, 영화관, 학교 등으로
다양해졌습니다.
시장에서는 이를
‘집에서 모든 경제활동을 한다’는 의미로
‘홈코노미(홈+이코노미)’라 부르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표적인 모습으로
인식하고 있는데요.
미국 자산운용사 엠레스가 홈코노미 관련주에
투자하는 테마형 상장지수펀드(ETF)인
‘엠레스앳홈([email protected]·티커명 LIV)’을
만든 배경이라고 합니다.
엠레스는 작년 10월 중순 LIV를 출시했는데요.
코로나19가 끝나더라도 집을 중심으로 생활하는
방식은 쉽게 바뀌지 않을것이란 판단이었습니다.
이 ETF는 온라인 홈트레이닝 구독서비스를
제공하는 펠로톤(PTON·7.89%), 수공예품 거래
플랫폼 엣시(ETSY·5.73%), 화상회의 플랫폼
줌비디오커뮤니케이션(ZM·5.28%), 온라인 결제
플랫폼 페이팔(PYPL·5.23%), 소셜 네트워크
게임 개발 업체 징가(ZNGA·4.77%) 등…
대표적인 비대면 소비주를 담고 있는데요.
뿐만아니라, 미국최대 원격의료기업 텔라닥(TDOC)
운송회사 XPO로지스틱스(XPO)와 페덱스(FDX)
문제풀이 앱 체그(CHGG) 등 총 27개
기업을 편입했습니다.
아직 괄목할만한 성과는 내지 못한 상태인데요.
운용자산(AUM)은 1200만달러(약 135억원),
상장후 수익률은 7.2% 입니다.
하지만 ETF가 장기투자의 특성을 갖고 있고
테마형 ETF는 자신이 믿는 미래의 모습에
베팅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할만하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올들어 국가 대표지수를 추종하는 ETF에서는
자금이 빠진 반면 테마형, 액티브 ETF로
자금이 유입된것도 이유인데~
ETF 시장의 이러한 흐름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LIV와 비슷하게 집을 테마로 한 ETF로는
‘디렉시온 재택근무(Direxion work From Home·WFH)’
ETF가 있습니다.
올들어 4.96% 오르며 LIV(4.10%)와 비슷한
수익률을 기록 중인데요.
다만 최근 3개월 기준으로는 WFH가 32.07%,
LIV가 19.23%로 WFH의 수익률이 더 높습니다.
WFH는 정보기술(IT)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기업 비중이 60% 이상 입니다.